shadow tracking
2011. 9. 28. 16:09ㆍIntrapreneurship/motivation
1. Shadow Tracking 정의
사용자의 일상에 그림자처럼 밀착하여 유저의 ‘관련 제품 사용 맥락에서의 사용상 Pain Points, needs, idea’를 얻기 위한 자연관찰조사법.
실사용 현장에서 사용자의 usage를 관찰함으로써 회고적/내성적/자기기술적 정량 및 정성 조사로는 파악해낼 수 없는 사용자의 사용환경,
usage pattern, 실패시의 반응들, 관련 라이프스타일 등을 자연관찰을 통해 포착해내기 위한 방법.
2. Shadow Tracking 유래
인류학자들이 문화연구를 위해 거주지역을 찾아가서 자료를 수집하던 방식을 차용,
1990년대 중반 미국의 더블린 그룹(Doblin group), 이랩(E-lab)등의 디자인 회사에서 사용자의 숨겨진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 에쓰노 그라피방법을 도입하면서 디자인 분야에 알려짐
3. Shadow Tracking 방법
3.1 목적
-사용자들이 관련 제품/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함, 요구사항, 이용패턴 등을 관찰하고 분석
3.2 방법
- 참가자 전원이 한 명의 관찰 대상을 관찰
- 카메라를 들고 사용자를 따라 학교, 집, 쇼핑몰 등을 쫒아다님
- 유의미한 행동/장소 등을 그룹핑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행동 기록
- 시간, 행위의 횟수 등 관찰 대상을 기록하고 분석
3.3 고려사항
관찰 과정 중 관찰자는 사용자의 주제 관련 행동을 유발하고, Pain Point를 확인/추가 확인하는 정도에서 그치고
가능한 많은 활동을 유도하여 그에 따른 보다 많은 Pain Point를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함
4. Shadow Tracking 특징
4.1 장점
- 1~2명이 관찰하는 것에 비해 많은 로우 데이터가 나올 수 있음
- 정형화된 답변이 아닌 전반적인 생활 반경 속에서 제품/서비스가 미치는 영향이나 즉각적인 피드백을 캡쳐 할 수 있다는 점
4.2 특징
-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림
- 관찰대상을 정해서 일정 시간 동안 뒤를 밟으며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대상이 실내, 실외를 거의 쉬지 않고 다니는 경우가 많음
4.3 비슷한 관찰법
- Fixed Camera:카메라를 고정시키고 시간대별로 패턴을 관찰하는 방법
- Physical Tracing:이용자들의 행위 결과 나타나는 물리적인 결과물을 분석하는 방법
- Eye Tracking:웹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사용자 추적법으로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눈동자의 흐름을 기록, 분석하는 방법
- Mouse Tracking:아이 트래킹과 유사한 것으로 마우스 이용 패턴을 기록, 분석하는 방법.
http://webcodi.or.kr/codiss20/user/codissdb/ui3003_detail.asp?sReg_Seq=695
사용자의 일상에 그림자처럼 밀착하여 유저의 ‘관련 제품 사용 맥락에서의 사용상 Pain Points, needs, idea’를 얻기 위한 자연관찰조사법.
실사용 현장에서 사용자의 usage를 관찰함으로써 회고적/내성적/자기기술적 정량 및 정성 조사로는 파악해낼 수 없는 사용자의 사용환경,
usage pattern, 실패시의 반응들, 관련 라이프스타일 등을 자연관찰을 통해 포착해내기 위한 방법.
2. Shadow Tracking 유래
인류학자들이 문화연구를 위해 거주지역을 찾아가서 자료를 수집하던 방식을 차용,
1990년대 중반 미국의 더블린 그룹(Doblin group), 이랩(E-lab)등의 디자인 회사에서 사용자의 숨겨진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 에쓰노 그라피방법을 도입하면서 디자인 분야에 알려짐
3. Shadow Tracking 방법
3.1 목적
-사용자들이 관련 제품/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불편함, 요구사항, 이용패턴 등을 관찰하고 분석
3.2 방법
- 참가자 전원이 한 명의 관찰 대상을 관찰
- 카메라를 들고 사용자를 따라 학교, 집, 쇼핑몰 등을 쫒아다님
- 유의미한 행동/장소 등을 그룹핑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행동 기록
- 시간, 행위의 횟수 등 관찰 대상을 기록하고 분석
3.3 고려사항
관찰 과정 중 관찰자는 사용자의 주제 관련 행동을 유발하고, Pain Point를 확인/추가 확인하는 정도에서 그치고
가능한 많은 활동을 유도하여 그에 따른 보다 많은 Pain Point를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함
4. Shadow Tracking 특징
4.1 장점
- 1~2명이 관찰하는 것에 비해 많은 로우 데이터가 나올 수 있음
- 정형화된 답변이 아닌 전반적인 생활 반경 속에서 제품/서비스가 미치는 영향이나 즉각적인 피드백을 캡쳐 할 수 있다는 점
4.2 특징
-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림
- 관찰대상을 정해서 일정 시간 동안 뒤를 밟으며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대상이 실내, 실외를 거의 쉬지 않고 다니는 경우가 많음
4.3 비슷한 관찰법
- Fixed Camera:카메라를 고정시키고 시간대별로 패턴을 관찰하는 방법
- Physical Tracing:이용자들의 행위 결과 나타나는 물리적인 결과물을 분석하는 방법
- Eye Tracking:웹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사용자 추적법으로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눈동자의 흐름을 기록, 분석하는 방법
- Mouse Tracking:아이 트래킹과 유사한 것으로 마우스 이용 패턴을 기록, 분석하는 방법.
http://webcodi.or.kr/codiss20/user/codissdb/ui3003_detail.asp?sReg_Seq=695
'Intrapreneurship > motiv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0) | 2012.06.26 |
---|---|
IDEA CAMOUFLAGE (0) | 2012.05.24 |
[LEGO] 상상력을 이용한 단순함이 섬세함을 극복한 광고 (0) | 2012.04.30 |
Team Building Game (0) | 2011.10.04 |
아베쎄 (0) | 2011.09.09 |